목록상호관세 (4)
연려실의 투자일지

" 中, 美의 틱톡 인수 반대" 트럼프 발 관세전쟁으로 2020년 코로나 이후 최악의 폭락이 발생했다.저점 매수기회인가, 아니면 최악의 상황이 더 발생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상호관세를 두들겨 맞은 주요 국가들이 과연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봐야할 것 같다1. 강경대치 or 협상최선 국가관세율노선내용대한민국25%협상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은 '경제안보전략 TF'에서 우리나라 수출중심 경제에 큰 타격이 생길 수 있음을 우려. 대미협상에 총력을 강조. 다만 국가 리더십 공백으로 대응 제한적중국54%초강경34% 추가 보복관세 발표(4.10부터), 틱톡 인수 반대, 미국 군수기업 앞 수출금지, 대만에 무기를 판매한 11개 기업 '신뢰할 수 없는 기업'에 리스팅, 희토류 수출 통제일본24%협상'유감'표명, 자동..
" 각 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만큼 상호관세를 부과한다 " 트럼프 행정부는 대한민국의 상호관세율을 25%로 산출하였고, 이에 대한 근거로 대한민국이 미국 앞으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확히는 트럼프가 설명은 건너뛰고 보드판으로만 설명해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07년 미국과 FTA를 체결하였고, 24년말 기준으로 실제 평균 관세율은 0.79%에 불과하다 0.79% 숫자도 환급을 고려하지 않은 숫자로 환급액 고려시 거의 0%에 수렴한다 그러면 도대체 50%는 어디에서 나온 산식일까?트럼프는 산식은 언급하지 않고 "비금전적 무역 장벽"을 문제로 거론하며, 관세 뿐만 아니라 규제/보조금/환율/ 등을 반영했다고 말했다백악관 역시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국가..

" 트럼프: 경제적 독립선언이다 "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정책 요약을 하면 아래와 같다.또한 이러한 관세부과가 어떤 의미와 효과인지도 간략히 정리해보겠다.1. 관세 요약 보편관세 : 모든 국가,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10% 관세가 부과. 상호관세가 없더라도 부과되는 기본선이며,트럼프(트황제)에 따르면 "경제적 독립 선언"을 위한 행위라고 한다. 시작은 4월 5일부터이다. 상호관세 : 각국의 대미 관세율이나 장벽에 따라 부과하는 국가별 차등 관세. 트황제 말을 빌리면 특정 "최악의 국가" 60개에 부과.그 중 연설에서는 25개국을 보드판으로 아주 친절히(?) 보여주었다 - 중국 : 기존 20% + 34%p 추가 = 총 54% - 베트남 : 46% - 대만 : 32% - 대한민국..
" 집권 1기때 참모들의 조언을 듣고 관세를 자제한 것은 큰 실수였다 "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트럼프는 4월 2일 해방의 날을 앞두고 더욱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주문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1기 집권때를 언급하며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 표명한다. 또한 관세의 목적 또한 더욱 뚜렷해졌다. 기존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결국 관세를 통해 1) 재정수입 확충, 2) 제조업 리쇼어링 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트럼프의 의도임이 더욱 명확해졌다. 당장 4월 2일 관세는 어떻게 부과될 건지, 그리고 여태 관세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한번 정리하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1. 상호관세? 보편관세? 일단 두 단어의 기본 정의부터 정리하고 가자상호관세: 특정국가가 자국 제품(트럼프 입장에선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