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라라고 (4)
연려실의 투자일지

트럼프 트루스 소셜 한마디 이후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가 나왔다.나스닥은 12%, S&P는 9.5%,다우존스는 7.9% 라는 역사적 폭등이 발생했다. 트럼프는 왜 갑자기 트럼프풋을 발동했는지, 과거 1차 관세전쟁 및 코로나 시기 대비 저점 및 회복은 어떨지 비교해보겠다1. 트럼프 풋 발동요인, 장기채권 비상? - 기존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2025.03.04 - [미국주식] - 트럼프의 큰 그림 (주가보다는 채권) - 트럼프는 현재 장기금리를 낮추는 것에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주가보단 채권금리에 집중하고 있다 - 그러나 월요일 3.87%까지 잘 내려가고 있던 국채 10년물 등이 갑자기 폭등을 했다 - 4월8일 ~ 4월9일 이틀간 폭등하며 무려 4.5%까지 치솟았다 (20년, 30년물은 5%를 넘겼..

" 트럼프: 경제적 독립선언이다 "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정책 요약을 하면 아래와 같다.또한 이러한 관세부과가 어떤 의미와 효과인지도 간략히 정리해보겠다.1. 관세 요약 보편관세 : 모든 국가,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10% 관세가 부과. 상호관세가 없더라도 부과되는 기본선이며,트럼프(트황제)에 따르면 "경제적 독립 선언"을 위한 행위라고 한다. 시작은 4월 5일부터이다. 상호관세 : 각국의 대미 관세율이나 장벽에 따라 부과하는 국가별 차등 관세. 트황제 말을 빌리면 특정 "최악의 국가" 60개에 부과.그 중 연설에서는 25개국을 보드판으로 아주 친절히(?) 보여주었다 - 중국 : 기존 20% + 34%p 추가 = 총 54% - 베트남 : 46% - 대만 : 32% - 대한민국..
" 집권 1기때 참모들의 조언을 듣고 관세를 자제한 것은 큰 실수였다 "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트럼프는 4월 2일 해방의 날을 앞두고 더욱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주문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1기 집권때를 언급하며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 표명한다. 또한 관세의 목적 또한 더욱 뚜렷해졌다. 기존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결국 관세를 통해 1) 재정수입 확충, 2) 제조업 리쇼어링 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트럼프의 의도임이 더욱 명확해졌다. 당장 4월 2일 관세는 어떻게 부과될 건지, 그리고 여태 관세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한번 정리하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1. 상호관세? 보편관세? 일단 두 단어의 기본 정의부터 정리하고 가자상호관세: 특정국가가 자국 제품(트럼프 입장에선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
" 트럼프는 달러약세를 원하고 있다. 이 구상은 트럼프의 플로리다 별장 이름을 따 '마라라고 합의'라 한다. 1985년 미국은 당시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일본·독일·영국·프랑스를 압박해 달러 약세 유도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를 '플라자 합의'라 한다 " 루즈벨트의 언급에서 시작된 '첫 100일'. 트럼프도 첫 100일에 모든 정책을 쏟고 있다. 내년 11월 중간 선거 이전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야 한다. 베센트 역시 QT가 종료되는 3분기 시점부터 세제 감면 정책 및 장기채 전환 등을 언급하고 있으니, 트럼프는 확실히 3분기를 타겟으로 현재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기존 게시물에도 언급했듯 결국 트럼프는 현재 관세전쟁을 통해 '마라라고 합의', '국부펀드' 를 이끌어 그의 구상을 구체화할 것처..